본문 바로가기
건강

Brain,뇌 - 두정엽(마루엽)에 대한 구조와기능,손상 그리고 발달 및 알츠하이머 병에 대해서

by Rich Jun 2024. 8. 25.
반응형

 

두정엽(마루엽) : Parietal lobe

머리 가운데 있기 때문에 한자로 頭(머리 두),頂(가운데 정),葉(잎 엽)을 사용한다. 두정엽은  대뇌 반구의 위쪽 후방 부분으로 중심구의 뒤쪽, 실비우스열의 위쪽, 후두구의 앞쪽에 위치한다. 두정엽은 중심고랑(Central sulcus) 뒤쪽으로 이어져 마루뒤통수고랑(Parieto occipital sulcus)을 경계로 후두엽과 구분되며 가쪽고랑(Lateral sulcus)부위에서 측두엽으로 이어지는데 두 영역의 구분은 다소 임의적이다. 두정엽의 기관에는 운동명령을 내리는 중추가 있다. 체감각피질과 감각연합영역이 있어서 촉각, 압각, 통증 등의 체감각 처리에 관여하여 피부, 근골격계, 내장, 미뢰로 부터의 감각신호를 담당한다.

 

 

 

 

구조

중심뒤이랑(Postcentral gyrus)

중심고랑과 중심뒤고랑(Postcentral sulcus) 사이에 존재하는 두정엽의 영역

 

위마루소엽(Superior parietal lobule)

중심뒤고랑보다 뒤쪽에 있는 두정엽의 영역 중에 마루속고랑(Intraparietal sulcus)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아래마루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중심뒤고랑보다 뒤쪽에 있는 두정엽의 영역 가운데 마루속고랑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을 가리킨다. 아래마루소엽은 모서리위이랑과 모이랑 부위로 이루어져있다.

모서리위이랑(Supramarginal gyrus, 연상회)

가쪽고랑의 뒤가지(posterior ramus)가 위쪽으로 꺽여 끝나는 부분 근처에 존재하는 두정엽의 영역을 가리키며, 측두엽의 위관자이랑과 이어진다.

모이랑(Angular gyrus, 각회)

위관자고랑이 끝나는 부분 근처에 존재하는 두정엽의 영역을 가리키며, 측두엽의 중간관자이랑과 이어진다. 

 

뒤중심곁이랑(Posterior paracentral gyrus)

대뇌 반구의 안쪽면에서 관찰되는 이랑, 중심곁소엽(Paracentral lobule) 중에서 중심고랑보다 뒤쪽에 존재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쇄기 앞소엽(Precuneus)

대뇌 반구의 안쪽면에서 관찰되는 이랑으로, 뒤중심곁이랑보다 뒤쪽에 위치하며 띠고랑(Cingulate sulcus) 및 마루뒤통수고랑을 경계로 갖는다.

 

 

두정엽의 기능

* 신체 다른 곳에서 온 감각 정보 해석

* 형태, 질감 및 무게의 인상을 일반적으로 지각으로 결합

* 수학적 기술 및 언어 이해에 영향을 미침

* 사람이 공간 내에서 방향(자신의 위치를 앎)을 알 수 있고, 방향감각을 유지(자신이 가는 방향을 앎) 할 수 있게 해주는 공간 기억 저장

* 신체 부분의 위치를 알도록 도와주는 정보처리

 

 

실비우스열 

일반인 뇌(좌측), 아인슈타인 뇌(우측)

 

 

인간의 뇌를 옆에서 보면 앞부분인 전두엽과 윗부분인 두정엽을 아래쪽의 측두엽과 나누면서 뻗어져 있는 실비우스열(Sylvian fissure)이란 큰 고랑이 있다

 

미뢰

혀의 윗부분에 있는 세포로, 맛세포가 꽃잎처럼 겹쳐진 형태이다. 맛세포는에 용해된 음식과 접촉하여 맛을 느끼는 역할을 한다. 미뢰는 여섯 가지 맛을 느낄 수 있는데, 단맛·쓴맛·짠맛·신맛·감칠맛·지방맛이다. 혀. 입천장. 후두. 인두에 약 1만여개가 분포하며, 각각의 미뢰에 20~30여개의 맛 수용세포가 분포한다. 30일마다 재생되는데 몸의 영양 상태가 나쁘거나 나이가 들면 숫자가 감소하게 된다. 나이들면 미뢰의 갯수가 줄어들기에 어머니들께서 해주신 음식들의 맛이 과거와는 다르게 변하는 이유중에 하나로 여겨진다.

 

 

두정엽의 발달

7~12세 시기에 측두엽과 두정엽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두정엽은 사고 및 인식기능 중에서도 수학이나 물리학에서 필요한 입체 공간적 사고 및 인식기능, 계산 및 연상 기능등을 수행한다고 알려져있다. 이 부위를 발달시키려면 어릴때부터 퍼즐게임, 도형 맞추기, 숫자와 언어 맞추기 등과 같이 입체공간적인 사고를 발달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다. 단순계산이나 판에 박힌 산수공부보다 창의력과 상상력을 동반하여 두정엽을 포함한 광범위한 대뇌피질을 동원하는 연상과 추론을 요구하는 수학교육이 필요하다. 여러가지 원리를 이용하는 문제를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사건을 두고 해결하게 하면 뇌의 많은 부분이 동원돼 더 다양한 부위를 발달시킬 수 있다. 두정엽의 부위는 아인슈타인의 천재성과 관련대 있을 가능성이 크다. 아인슈타인의 뇌를 다시 정밀하게 연구한 결과, 두정엽의 하단 부위가 보통 사람들보다 15%정도 더 크며, 두정엽과 측두엽 사이의 고랑인 실비안고랑(Sylvian fissure)이 더 많은 세포로 채워져 보통사람들보다 얕은것으로 조사되었다.

 

 

두정엽의 손상

두정엽의 앞부분이 손상을 입을 경우, 무감각 증세가 나타나며 몸의 반대쪽 부위에서 감각장애가 발생한다. 두정엽 손상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감각의 위치 및 유형을 식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격게 됩니다.(통증, 열, 추위, 진동) 사람들은 촉감으로 물체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두정엽의 가운데 부분이 손상될 경우, 왼쪽과 오른쪽을 분간할 수 없으며 계산 및 글쓰기에서 여러가지 문제 발생하게 되고, 몸의 각 부위별 위치를 감지(자가수용감각)를 하는데 있어서 장애를 겪게 됩니다. 비우성(우측) 두정엽이 손상되면 머리 빗질 또는 의복착용 등 간단한 숙련작업을 수행할 능력이 상실될 수도 있습니다.(실행증). 우측 두정엽 손상된 사람들을 공간 내에 있는 물체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며, 그리거나 만드는 창의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 더디거나 본인이 사는 동네에서 길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알츠하이머 병

신경세포 상실, 베타 아밀로이드라 불리는 비정상적 단백질의 축적, 신경원섬유 매듭의 형성 등 뇌 조직의 변성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기능의 점진적 상실 장애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한 유형이며, 기억상실, 언어사용문제, 성격변화, 지남력상실, 이상적인 과업수행 곤란, 공격적인 행동, 부적절한 행동처럼 기억력, 사고력, 판단력 및 학습능력 등 정신 기능이 서서히 쇠퇴하는 장애를 의미한다. 알츠하이머병에서는 이 두정엽의 기능이 비교적 초기부터 저하된다.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최근 있었던 사건들을 망각하는 징후가 나타나며, 이후에는 혼돈 증세가 늘어나고 다른 정신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고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는데 문제를 겪게 되며 일상적인 일과를 수행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치매의 증상이 진행되면서 환자는 기능을 수행 할 수 없게 되며 타인에게 완전히 의존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은 남으 생존 기간은 예측가능하며, 진단을 내린날로부터 평균적으로 약 7년이 경과할 때 환자는 사망한다. 치매를 앓는 고령자들의 60~80%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해 치매를 경험한다. 알츠하이머병의 치료는 심신의 기능을 최대한 길게 연장하기 위한 방법들을 포함하고 있고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둔화시킬 수 있는 약물들을 복용하는 것이 있다.

 

 

반응형